Callback Part 10. 함수의 기본 개념 2 화살표 함수(Arrow Function) ES6에 추가된 새로운 함수 식으로 화살표 함수(arrow function)가 있습니다. 화살표 함수는 함수 식으로 표현될 때 사용될 수 있으며 기존 함수와 몇 가지 차이점이 존재합니다. (응용 편에서 자세히 다루겠습니다.) 기본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. 인수를 괄호 안에 적어주고 => 를 적어줍니다. 뒤에는 함수 블록처럼 작동할 식을 적으면 됩니다. if문을 이용해 값을 비교한 후 return값을 구할 수도 있습니다. 콜백 함수 함수를 값으로 취급하기 때문에 함수는 인자로도 반환 값으로도 전달될 수 있습니다. 이를 이용해 다양한 응용을 만들 수 있습니다. 함수를 인자로 다른 함수에게 넘기고 불려진 함수 안에서 인자로 받은 함수를 호출하는 것을 콜백 함수라 부릅니다.. Today Learning _ 2020. 3. 5. 동기와(Synchronous) 비동기(Asynchronous) 동기(Synchronous: 동시에 일어나는) 순차적인 방법으로 프로그래밍이 진행되는 것을 의미한다(js). 직렬적으로 명령을 처리한다. 왜냐하면 쓰레드(Thread)가 1개이기 때문이다. **Thread: 명령어가 흐르는 통로 동기처리 방식을 확인해보면 순차적으로 값이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 처리한 순서 그대로 hello - yoon - Hello Again의 결과값이 출력됩니다. 동기방식은 설계가 간단하고 직관적이지만 결과가 나올 때까지 대기해야 한다. 즉,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하고 데이터가 응답되기 전까지 이후에 작업되는 것들은 블로킹(blocking, 작업중단)된다. 비동기(Asynchronous : 동시에 일어나지 않는) 비순차적인 방법으로 프로그래밍이 진행되는 것을 의미한다.(nod.. 개발 개념 살펴보기_ 2020. 2. 28. 이전 1 다음